2014년 5월 8일 목요일

비고스키의 근접발달지대와 비계설정의 개념을 예를 들어서 설명하시오.

비고스키의 근접발달지대와 비계설정의 개념을 예를 들어서 설명하시오.
자료다운로드클릭: 비고스키의 근접발달지대와 비계설정.hwp
목차
1. 비고스키의 근접 발달 지대와 비계설정의 개념
1) 근접발달영역의 정의
2) 아동의 발달 수준에 적합한 과제제시
3) 근접발달 영역이 주는 시사점
4) 비계(scaffolding)의 개념

2. 비고스키의 근접 발달 지대의 개념을 예를 들어 설명

3. 비계설정의 개념을 예를 들어 설명

4. 마치며
본문
근접발달영역은(ZPD)은 독자적으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영역과 다른 사람의 도움을 얻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영역 사이의 격차를 의미하며, 이 영역은 새로운 발달이 일어날 것이라고 기대되는 영역이므로 교육활동이나 평가활동은 당연이 이 영역에 집중되어야 한다. 발판화(비계설정)는 학습자의 근접발달영역을 감안해서 독자적으로 학습하기 어려운 지식이나 기능을 학습하도록 도와주기 위한 방법을 의미한다. 역동적 평가는 비고츠키의 이론에 근거하여 근접발달영역을 평가하기 위한 평가를 말하며 이는 실제적 발달수준만을 평가하는 고정적 평가와 대비된다.
이렇게 인지발달과 학습에 있어서 사회 ․ 문화적 성질을 강조하는 비고츠키이론은 교육과 관련하여 몇 가지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이러한 시사점은 학교장면에서 정상적인 성취를 보이는 학생들뿐만 아니라 흔히 문제가 되는 학습부진 학생들의 교육에 특히 의미가 있다.
첫째, 교육환경, 특히 인적환경의 아동의 발달에 중요하다는 것이다. 비고츠키 이론에 따르면, 교사는 아동의 근접발달 영역을 면밀히 파악하고 그 영역의 범위에서 조언과 조력을 제공하는 역할을 하여야 한다. 즉 비고츠키의 이론은 교사는 학생 스스로의 힘으로 발견할 수 있도록 환경을 배치하는 것 이상의 것을 해야만 한다는 것을 시사한다.
참고문헌
송선희. 2000. 비고츠키와 유아교육 철학. 『아동교육』. 제9집. 조선미. 2001. 비고츠키(Vygotsky)의 ‘근접발달영역(ZPD)’이론에 따른 교수-학습 방법 탐색 이명아. 1999. 유아교육과정 구성을 위한 Vygotsky의 근접발달영역(ZPD) 이론 고찰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