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운로드: b형 간형의 증상과 치료방법 및 관리방안.hwp ![]() |
2) B형 간염이란? B형 간염은 B형간염바이러스(Hepatitis B Virus)가 일으키는 간염으로 우리나라에서는 모든 간질환의 가장 큰 원인이 되고 있다. 현재까지 알려져 있는 간염바이러스는 A형, B형, C형, D형, E형, G형 등으로 우리나라에서 주로 문제가 되는 것은 A형, B형, C형이며, 이중 만성간질환을 유발할 수 있는 것은 B형과 C형이다. 국내 B형 간염 환자의 99%는 가장 악질형인 유전자 C형으로 치료반응이 낮고 간 손상이 심하며 간암으로의 진행도 잘 된다. 바이러스 증식력도 높다. 2. 발생현황 1) 국외 현황 B형 간염은 발생빈도가 높으며 간경변증이나 간암으로 진행되기 때문에 전세계적으로 매우 중요한 보건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현재 약 20억 명의 B형간염 보균자가 있으며(인구 3명 중 1명) 매년 1000만~3000만 명이 감염되고 있다. 3억 5천만명이 만성간염이며, 이 중 15~25%가 만성 간질환(간경변, 간암)으로 사망하고 있다. 동남아시아나 대부분의 아프리카, 태평양 도서 지역, 중동 지방, 아마존 유역과 같이 B간염 표면항원(HBsAg) 양성인구가 8% 이상인 유병률이 높은 지역에서는 출산때 모체로부터 신생아가 수직감염이 되거나 가족내 감염(수평감염)을 통해 주로 출생시나 어린 연령기에 감염이 되며 대부분 증상이 없고 성인이 되어 만성 간질환이나 간암이 되는 경우가 많다. 미국이나 유럽과 같이 B형간염 표면항원(HBsAg) 양성 인구가 2% 미만인 유병률이 낮은 지역에서는 성접촉이나 피부상처를 통해 주로 성인시기에 감염된다. |
이 자료는 레포트마켓에서 제공하는 유료자료입니다. |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