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년 4월 13일 화요일

자궁외 임신의 특징과 진단 및 치료방법

다운로드: 자궁외 임신의 특징과 진단 및 치료방법.hwp
1. 정의와 빈도
자궁외임신이란 수정란이 자궁이 아닌 다른 곳에 착상하는 것을 말하며, 대부분 난관임신(95%)이며, 그 중 팽대부에 착상되는 것이 가장 흔하고, 그 외 복강 (3 - 4%), 난소 (1%), 경관(1%) 임신이다. 난관 임신시 난관벽은 수정란을 받아들이고 성장시킬 충분한 탄력성이 없기 때문에 불가피하게 파열된다. 파열시 수정된 내용물이 출혈과 함께 난관채를 통해 복강 내로 흘러나오는 것이 난관 유산(tubal abortion)이라 하며 파열은 보통 임신 12주 내에 있다. 때때로 수정란이 난관에서 자궁벽을 통과하면서 임신이 지속되는 경우도 있는데, 이것을 간질부 임신(interstitial pregnancy)이라 한다. 수정된 내용물이 파열되어 복막에 착상하게 되면 복강 임신(abdominal pregnancy)이라 하며 아주 드물게는 개복수술로 살아있는 아기를 분만시키기도 한다.
자궁 외 임신의 빈도는 증가하여 전체 임부의 1 - 3%를 차지하고 있고, 모성 사망률도 10%에 이른다. 이러한 증가 이유는 보다 민감한 β-hCG 검사와 질식 초음파 검사 등, 진단 기술의 발달과 함께 성병의 증가와 관련이 있다.
 


이 자료는 레포트마켓에서 제공하는 유료자료입니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