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3년 5월 28일 화요일

소득보장정책 가운데 한국 사회보험의 과제에 대해 논하시오.

소득보장정책 가운데 한국 사회보험의 과제에 대해 논하시오.
자료다운로드클릭: 장기적관점에서본사회변화와사회보험의과제.hwp
목차
1. 서론

2. 미래 사회 경제여건 변화
1) 세계화 정보화의 빈부격차
2) 소득구분의 불확실성
3) 생명공학 발전과 여파

3. 선진국 사회보험의 일반 경향과 전망

4. 사회보험의 개선 및 발전방향
1) 기본방향
2) 공적 연금의 개선 및 발전과제
3) 의료보험의 개선 및 발전과제
4) 산재보험의 개선 및 발전과제
5) 고용보험의 개선 및 발전과제

5. 결론
본문
최저 수준의 상하한선 제도를 도입하도록 하고 이와는 별도로 향후 산재근로자가 요양기간 동안 정보화의 급속한 진전으로 인하여 정보화에 동승하지 못함으로써 노동시장으로부터 도태되는 현상을 막고 재취업의 기회를 확대하기 위한 재활사업이 강화되어야 할 것이다.

5) 고용보험의 개선 및 발전과제
고용보험은 기존의 노동시장정책과 맞물려 적극적 노동시장 정책을 강화하여야 한다. 즉 고용보험의 실업부조적 성격을 탈피하여야 한다는 것이다. 고용보험이 수행하여야 할 미래의 역할은 노동시장의 양분화 현상을 억제하면서 양분된 노동시장의 간격을 좁히고 이동을 최대한 원활하게 하는데 역점을 두어야 하며, 또한 노동시장 내에서 차별화가 심화되지 않도록 하여 기존 노동시장으로부터 탈락을 막고 실업자에 대한 노동시장 재 진입을 원활하게 함으로써 노동시장으로부터 영원히 도태되어 공공부조 대상이 되는 것을 최소화하는데 전력을 기울여 한다. 이러한 역할은 고용보험 대상자에 국한된 노력인 만큼 노동시장정책의 시험대로서 그리고 선도 정책적 역할을 충실하게 함으로써 미래의 노동시장 정책을 결정하고 발전시키는 역할을 하도록 하여야 할 것이다.

5. 결론

우리는 현재 걸음마 단계에 있는 사회보험을 제도적으로 정착시켜야 하며, 선진국이 수렴하는 수준으로 단계적이고 장기적인 변화를 추구해야 하는 동시에 새로운 변화에 대응할 수 있는 종합적인 사회보험의 기능을 구축해야 한다.
참고문헌
김진현, 2001, “DRG지불제도의 성과와 평가, 한국보건경제학회 발표논문” 김창엽, “2001, 건강보험 재정문제의 현황과 과제” 배은영·김진현, “2001, 보험 약가 관리제도 개선방안”,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조홍준, 2001, “ 건강보험 파탄의 구조적 원인과 과제” 김용하,사공진 공저, “의료보험과 국민연금의 관리효율화를 위한 통합방안” 김영모, 1993 “ 한국인의 복지의식과 사회복지정책의 발달”, 한림과학원편 김기식, 1996, “사회복지운동의 의의와 과제” 김기식, “사회복지학교 자료집” 김병익, 2001, “건강보험 재정파탄 어떻게 할 것인가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