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3년 12월 17일 화요일

자신의 생애사(영유아기 - 성인기)를 에릭슨의 각 단계의 발달과업과 정신건강문제를 고려하여 작성하시오.

자신의 생애사(영유아기 - 성인기)를 에릭슨의 각 단계의 발달과업과 정신건강문제를 고려하여 작성하시오.
자료다운로드클릭: 에릭슨의 각 단계의 발달과업과 정신건강문제.hwp
목차
[정신건강론] 자신의 생애사(영유아기 - 성인기)를 에릭슨의 각 단계의 발달과업과 정신건강문제를 고려하여 작성하시오.

1. 자신의 생애사(영유아기 - 성인기)를 에릭슨의 각 단계의 발달과업과 정신건강문제를 고려하여 작성
1) 제1단계: 신뢰감 대 불신감이 형성되는 단계(0∼1세)
-해당시기의 나의 발달

2) 제2단계: 자율성 대 수치심이 형성되는 단계(2∼3세)
-해당시기의 나의 발달

3) 제3단계: 주도성 대 죄책감이 형성되는 단계(4∼5세)
-해당시기의 나의 발달

영유아기 정신건강에 대한 분석

4) 제4단계: 근면성 대 열등감이 형성되는 단계(6∼11세)
-해당시기의 나의 발달

아동기 정신건강에 대한 분석

5) 제5단계: 정체성 대 정체성 혼미를 형성하는 단계(12∼18세)
-해당시기의 나의 발달

청소년기 정신건강에 대한 분석

6) 제6단계: 친밀감 대 고립감이 형성되는 단계(18∼24세)
-해당시기의 나의 발달

7) 제7단계: 생산성 대 침체성(24∼54세)

8) 제8단계: 통합성 대 절망감(54세)

성인기 정신건강에 대한 분석
본문
특히 모유수유를 5살까지 했는데 도저히 엄마 젖을 떼어 놓지 않아서 많이 힘들었다고 하셨다. 하지만 그 이외에는 별다른 특이사항 없이 올바르게 바르게 성장하였다고 한다.

2) 제2단계: 자율성 대 수치심이 형성되는 단계(2∼3세)
이 시기는 자기의 요구에 따른 자율과 독립의 기초가 마련되면 어린이는 세계에 대해 적극적이고 능동적인 신체 활동과 언어의 사용이 증가된다. 이를 자발성의 요구라고 한다. 그러나 그렇지 못하면 심한 죄책감을 갖게 된다. 질문과 탐색활동이 잦아진다. 그러나 만일 자유롭게 환경을 탐색하고 조절할 수 있는 기회를 잘 제공해 주지 않으면 아이들은 의심과 수치심에 사로잡힐 수 있다. 아이 혼자서도 할 수 있는 일인데 어머니가 항상 옷을 입혀 준다거나, 밥을 먹여 준다거나 하면 아이들은 “내가 능력이 없나 보다”하고 자신의 능력에 대해 의심하고, 또 부모가 아이 스스로 할 수 없는 일을 아이가 하기를 기대하고 강요한다면 아이는 자신의 무능함에 대해 수치심을 느끼게 되는 것이다. 과잉보호나 무관심이 좋지 않은 결과를 초래한다는 것은 이미 널리 알려진 사실이다.

-해당시기의 나의 발달
∴나의 유아기 역시 부모님의 영향이 가장 컸다고 말할 수 있다. 이 때는 부모님의 적절한 보살핌과 사랑으로 균형있게 성장해 온 것 같다. 특히
참고문헌
현대인의 정신건강, 장연집, 학지사, 2006 정신건강의 이해, 임혁, 채인숙, 공동체, 2011 이성태, 아동발달이론, 학현사 김영란,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박문각, 2008

댓글 없음:

댓글 쓰기